Assessment Programs
검사프로그램 안내
전두엽기능검사(Brain Memory Test)
특허받은 작업기억검사 (특허번호 제 10-2235241호 - 작업기억 능력 검사를 통한 집중력 검사 방법)
브레인메모리 검사는 작업기억 능력을 3가지 차원으로 검사하여 전두엽 활용 기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브레인메모리(Brain Memory)란?
브레인메모리는 대한민국 특허 제10-2235241호
「작업기억 능력 검사를 통한 집중력 검사 방법」에 기반한 전산화 인지 평가 및 훈련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주의력, 작업기억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개인의 집중력 상태를 과학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통해 인지기능 향상 및 훈련까지 이어질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었습니다.
개발 목적
기존의 지능검사나 주의력 검사가 한정된 능력만 평가하는 단점을 보완
작업기억 중심의 복합 인지 프로세스를 통한 집중력 측정
정량적 데이터 기반 + 자동 채점/해석 시스템으로 검사 효율성과 객관성 향상
브레인 메모리 검사는 작업기억에 기반한 전두엽 기능 검사입니다.
작업 기억(working memory)은 미국의 심리학자인 배들리(Baddeley)가 세운 기억에 관한 이론입니다.
이전까지 기억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이었던 이중기억이론(dual memory theory)에서는 기억이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기기억은 외부에서 주어지거나 장기기억에서 떠올린 정보를 잠시 저장하는 기능을 하는 기억 저장소이고, 장기기억은 단기기억에서 암송이나 의미적 체제화에 의해 전이된 정보를 아주 오래 기억하는 기억 저장소로 보았습니다.
이러한 단기기억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정보의 개수는 7±2개이며(기억 용량에 대한 '7±2' 법칙을 주장한 학자는 조지 A. 밀러(George A. Miller)입니다. 밀러는 1956년에 발표한 유명한 논문 "마법의 숫자 7, 더하거나 빼기 2: 정보 처리 용량의 몇 가지 한계(The Magical Number Seven, Plus or Minus Two: Some Limits on Our Capacity for Processing Information)"를 통해 이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머리에 떠올려진 정보를 유지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단기기억은 인간이 뭔가를 생각하는 동안에 작동하는 "의식(consciousness)"과 같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Baddeley는 이중기억이론에서 말하는 단기기억의 개념이 이러한 인간의 의식을 나타내기에는 너무 단순 하다고 생각하고 다양한 연구를 통해서 단기기억을 대신하여 인간의 의식을 나타내는 작업 기억의 개념을 제안 하였습니다.
이러한 작업 기억은 음운루프, 시공간-메모장, 중앙관리자라는 세 가지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음운루프는 소리에 기초한 정보를 유지하고 조작하는 곳으로, 우리가 말을 하거나 책을 읽을 때 작용하는데 책을 읽는 동안 단어에 대한 정보는 그림으로 저장되지 않고 음성으로 전환되어 음운루프에 저장됩니다.
시공간-메모장은 시각정보와 공간정보를 저장하는 곳으로 우리가 무엇인가를 보았거나 누군가의 얼굴을 떠올렸을 때 그것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곳입니다.
음운루프나 시공간-메모장은 단기기억과 마찬가지로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비해 중앙관리자는 주의를 음운루프나 시공간-메모장에 할당하거나 장기기억에서 정보를 탐색하고 탐색된 정보와 새로운 정보를 통합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하며 이러한 기능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면 ADHD와 같은 주의력 결핍장애를 보이게 되어 정상적인 학습이 이루어지지 못한다고 보았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작업 기억 능력은 집중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출처 : 공개특허 10-2018-0068352, 특허청)
브레인 메모리의 검사 방법
브레인메모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항목을 통해 작업 기억을 평가합니다.
1. 시공간 기억 (Visuospatial Memory): 화면에 무작위로 나타나는 블록의 순서를 기억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2. 구어 작업 기억 (Verbal Memory): 화면에 제시된 여러 그림 중 한 번 클릭한 그림은 다시 클릭하지 않는 방식으로 기억력을 평가합니다.
3. 비구어 작업 기억 (Non-Verbal Memory): 구어 작업 기억과 유사하게, 한 번 선택한 그림을 기억하고 다시 선택하지 않는 능력을 측정합니다.
집중도 평가 방식
이 검사의 가장 큰 특징은 작업 기억 능력 검사와 동시에 피검사자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집중도를 평가한다는 점입니다.
1. 움직임 획득: 카메라, 마이크, 의자의 압력센서, 또는 신체에 부착하는 가속도센서 등을 사용하여 검사 중 피검사자의 머리, 어깨 움직임, 다리 떨림, 내는 소리 등을 감지합니다.
2. 움직임 지수화: 측정된 움직임의 빈도, 거리, 방향 등을 종합하여 "움직임 지수"로 변환합니다. 이 지수는 피검사자의 집중도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3. 종합 분석: 각 작업 기억 검사 결과(정답률, 반응 시간 등)와 움직임 지수를 연계하여 피검사자의 집중력 수준, ADHD, ADD, 틱장애 등의 성향을 종합적으로 진단합니다.
검사 결과는 종합적인 판단에 의해 해석되어집니다.
종합심리검사와 다르게 빠르게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관련 전문가에 의해 결과가 해석됩니다.
따라서, 종합심리검사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검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종합심리검사를 다른 곳에서 받고온 경우에도 함께 해석이 가능하고 마음과인지 심리상담센터에서는 500건 이상의 브레인메모리 해석을 진행한 전문가의 결과해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