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img","src":"https://cdn.quv.kr/sge8hh8bu%2Fup%2F686f605b72b85_1920.png","height":110}
  • 센터소개
  • 상담프로그램
  • 검사프로그램
  • 디지털 멘탈케어
  • 커뮤니티
  • {"google":["Poppins","Barlow","Mada"],"custom":["Nanum Barun Gothic","Noto Sans KR"]}
    ×
     
     
    섹션 설정
    {"type":"img","src":"//cdn.quv.kr/sge8hh8bu/up/686f605b72b85_1920.png","height":56}
  • 센터소개
  • 상담프로그램
  • 검사프로그램
  • 디지털 멘탈케어
  • 커뮤니티
  • Counseling Programs

    상담프로그램 안내

    유아동.청소년상담

    아동 및 청소년상담 프로그램 안내입니다.

    유아동상담 및 청소년상담은 보통 만 3세 ~ 만19세 사이의 유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합니다.

     

    매체를 이용한 심리상담

    Play Therapy, Art Therapy, Game Play Therapy, PCIT.. etc..

    유아동 및 청소년상담은 미술, 놀이, 게임놀이 등의 교구를 사용하여 상담을 진행하며 만 12세 이상(중학생 이상)의 청소년들은 언어를 통한 개인심리상담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놀이치료 (Play Therapy)


    대상: 주로 아동 (3~12세)

    방법: 장난감, 인형, 모래, 역할놀이 등을 활용하여 아이가 자유롭게 표현하게 함

    목적: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감정·스트레스·트라우마를 놀이를 통해 해소하고 치료

    특징: 치료자와의 관계 형성을 통해 심리적 안정과 자기조절 능력을 키움

     

    미술치료 (Art Therapy)


    대상: 아동부터 성인까지 가능

    방법: 그림, 색칠, 조형활동 등 미술활동을 통해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표현

    목적: 언어 외적 표현을 통해 내면의 갈등, 정서 불안 등을 파악하고 조절

    특징: 작품 분석을 통해 무의식적인 감정과 사고를 드러냄

     

    게임놀이치료 (Game Play Therapy)


    대상: 주로 아동과 청소년 (요즘은 성인도 일부 사용)

    방법: 보드게임, 협동놀이 등 다양한 게임 놀이를 치료적으로 활용

    목적: 사회성, 충동조절, 집중력, 정서조절 능력을 향상

    특징: 아이가 흥미를 느끼는 매체를 사용하여 치료적 개입을 자연스럽게 유도
     

    청소년 심리상담

    [ : adolescent psychological counseling ]

    청소년기는 성장과정 중에 다양한 갈등과 어려움에 직면하는 시기로 볼 수 있습니다. 상담사와 청소년 내담아와의 관계를 통해 심리, 정서적 불편감, 가족 및 또래들과의 갈등 상황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돕고 직접적인 어려움이나 불편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상담이 진행됩니다.

    청소년기에 상담이 필요한 이유

     

    청소년기에 상담이 꼭 필요한 이유는 이 시기가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변화가 급격히 일어나는 과도기이기 때문입니다. 

     

    1. 자아정체감 형성의 시기


    이유: 청소년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자아정체감을 고민하는 시기입니다.

    근거: 심리학자 에릭슨(Erikson)의 발달단계 이론에서, 청소년기는 자아정체감 대 역할 혼란의 시기로, 제대로 형성되지 않으면 혼란과 불안이 지속될 수 있다고 봅니다.

    상담의 역할: 상담은 자기 이해를 돕고, 건전한 자아정체감 형성을 지원합니다.

     

    2. 급격한 정서 변화와 스트레스


    이유: 사춘기 호르몬 변화로 인해 감정 기복, 불안, 분노, 우울 등을 경험하기 쉬움

    근거: 청소년기에는 전두엽(충동조절)보다 변연계(감정처리)가 더 빨리 발달해 감정 조절이 미숙할 수 있음.

    상담의 역할: 안전한 공간에서 감정을 표현하고, 정서 조절 기술을 배울 수 있음

     

    3. 또래 관계와 학교생활에서의 갈등


    이유: 친구 관계, 따돌림, 성적 스트레스, 교사와의 관계 문제 등 다양한 갈등이 생김

    근거: 청소년기의 주요 발달 과업 중 하나는 사회적 관계 형성으로, 실패할 경우 자존감 저하와 사회적 위축이 발생할 수 있음

    상담의 역할: 대인관계 기술, 의사소통 능력 등을 훈련하고 회복할 수 있는 기회 제공

     

    4. 위기 행동 및 위험 요소 증가


    이유: 인터넷 중독, 자해, 음주·흡연, 가출, 자살 생각 등 위험 행동이 증가함

    근거: 청소년기에는 충동조절 기능이 완전하지 않아 위험 행동에 쉽게 노출됨

    상담의 역할: 조기 개입을 통해 위기 행동을 예방하고, 대처 전략을 지도함

     

    5. 가정 내 갈등과 소통의 어려움


    이유: 부모와의 갈등, 기대 부담, 소통 단절로 인해 심리적 압박을 받음

    근거: 가정은 정서적 기반이 되는 공간이며, 가족 관계의 질은 청소년의 정서 안정과 직결

    상담의 역할: 가족상담이나 부모상담을 통해 가정 내 관계 개선 가능

    {"google":["Poppins","Barlow","Mada","Roboto"],"custom":["Noto Sans KR","Nanum Barun Gothic"]}{"google":["Poppins","Barlow","Mada","Abril Fatface","Montserrat"],"custom":["Nanum Barun Gothic","Noto Sans KR","BMDOHYEON"]}
    {"google":[],"custom":["Noto Sans KR"]}